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리의 중요성 / 아인슈타인은 왜 복리를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하였을까?

by JaeHe 2024. 1. 27.

세계 수많은 부호들이 복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그만큼 복리가 중요하다는 이야기인데요,

 

오늘은 복리의 중요성과 아인슈타인은 왜 복리를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워렌버핏이 가장 큰 예시가 되겠네요.

 

실제로 그의 자산은 약 60대 이후부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현재의 대 부호 자리를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흔히 복리는 선형이 아닌 기하적이라고 표현하는데요, 가속도가 붙으면 그만큼 폭발적으로 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복리에 대해 한 번 알아볼까요?

 

돈_그래프_사진

복리란?

 

복리는 투자된 원금뿐만 아니라 그 원금에서 발생한 이자가 다시 이자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이자의 이자"를 생성하는 것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의 효과는 눈에 띄게 커집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복리를 "인류가 발견한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라고 했을 정도로, 복리의 힘은 막대합니다.

 

복리의 중요성 시간의 가치 복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자 금액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게 합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장기간 투자할수록, 복리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인내와 꾸준함의 보상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인내와 꾸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일정 금액의 돈을 모은 후 투자하거나, 매 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방식이 적합합니다.

 

복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인물들

 

알버트 아인슈타인

 

"복리는 세계의 제8대 불가사의이다. 그것을 이해하는 사람은 돈을 벌고,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돈을 지불한다."

 

워렌 버핏

 

투자의 대가 워렌 버핏은 복리의 힘을 이용하여 엄청난 자산을 축적했습니다.

 

그는 장기 투자와 복리의 효과를 강조하며, 꾸준한 투자의 중요성을 말해왔습니다.

 

 

그럼 복리의 위대함에 대해 알아볼까요?

 

시간에 따른 자산 증가 테이블 예시

 

자산 1억을 연 이율 7,10,13%로 투자하였을 때 기대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이율 / 기간 5년 후 10년 후 20년 후
7%   1억 4,025만 원   1억 9,672만 원   3억 8,697만 원
10%   1억 6,105만 원   2억 5,937만 원   6억 7,275만 원
13%   1억 8,424만 원   3억 3,946만 원   11억 5,231만 원

 

약 7%로 유지를 한다면 1억이 20년 뒤엔 약 3억 8천만 원 정도가,

 

10%로 수익률을 유지한다면, 20년 뒤엔 약 6억 7천만원 정도가 되네요.

 

이 수익률을 유지하긴 쉽지 않겠지만, 돈을 투자해 두고 열심히 직장을 다니다 보면,

 

은퇴 시점엔 묵돈이 되어 돌아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자산 3을 연 이율 7,10,13%로 투자 하였을 때 기대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이율 / 기간 5년 후 10년 후 20년 후
7% 약 4억 2,076만 원   5억 9,015만 원   11억 6,091만 원
10%   4억 8,315만 원   7억 7,813만 원   20억 1,825만 원
13%   5억 5,273만 원   10억 1,837만 원   34억 5,693만 원

 

3억으로 하였을땐 그 수익률이 더 어마무시합니다.

 

3억으로 매 년 10% 수익을 얻으면 20년 뒤엔 약 7배 가까이가 되네요.

 

 

결론

이번에는 복리의 중요성과 왜 아인슈타인이 복리를 8대 불가사의라고 표현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복리는 재테크와 투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액 투자로 시작하여 꾸준히 장기간 투자하면, 복리의 효과로 큰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 인내, 그리고 꾸준함의 가치를 재테크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복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재테크 성공의 열쇠 중 하나입니다. ​​